-
액취증 암내란?
암내란 겨드랑이에서 정상적인 체취 이상의 냄새가 나는 것을 말합니다.
전문용어로는 액취증이라 합니다.
우리말 사전에서는 암내를 “겨드랑이에서 나는 좋지 못한 냄새” 또는
“발정기의 암컷의 몸에서 나는 냄새“ 라고 풀이하고 있습니다.
이는 인종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데 동양인(10%내외)의 경우 서양인(90%내외)에 비해
발생빈도가 매우 낮습니다.
따라서 동양인의 경우 조금만 강한 체취를 가지더라도 심하게 느끼게 되고 발생 빈도가 낮다보니
암내가 하나의 병으로 취급되고 있습니다.
-
액취증이 생기는 이유는?
액취증의 발생원인
우리 몸에는 약2백만~3백만 개의 땀샘이 있는데, 땀샘에는 두 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1.무색,무취,무미로 체온조절과 노폐물 배출을 담당하는 에크린선
-진피에 깊숙히 위치해 있고 온도에는 민감하지 않으나 심리적인 자극에는 민감한 반응을 보입니다.
2.겨드랑이등 특정 부위에 집중적으로 발달해 지방산과 유기물질을 배출시키는 아포크린선
-액취증은 아포크린선에서 배출되는 땀이 체표면에 흘러나온 것을 피부에 서식하는 세균에 지방산과 암모니아로 분해하면서 생기는 냄새입니다.
아포크린선은 겨드랑이에 95%, 귓바퀴, 항문주위, 유두주위, 배꼽주의 등에 나머지가 분포되어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남자보다는 여자에게, 마른사람보다는 뚱뚱한 사람에게, 그리고 생리 전후에 액취증 증상이 빈번하게 발생합니다.
-
귀지와 액취증의 관계
암내는 귀지의 상태와 관계가 있습니다.
귀지에는 물귀지와 마른 귀지가 있는데, 물귀지는 젖어있고, 마른 귀지는 후비면 가루처럼 떨어집니다.
암내가 있는 사람은 80%이상이 물 귀지입니다.
물론 액취증이 없는데도 물귀지인 경우가 있고 액취증이 있는데도 물귀지가 없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절대적인 기준은 되지 못합니다.
귀지선의 기능은 겨드랑이에 있는 아포크린선과는 달리 생후 수개월부터 활발해지며 그 기능은 평생 유지되는 걸로 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어린나이에 물귀지 소견을 보이고 부모가 액취증이 있다면 사춘기가 되면서 액취증이 발현할 가능성이 높다고 할 수 있고 수술해도 귀지의 상태는 변하지 않습니다.
-
액취증의 근본적인 치료법은?

장기적인 액취증 치료 방법으로 “4세대 무통 삼중제거술 수술법” 이있습니다
액취증 증상의 원인이 되는 땀샘 조직을 3단계 과정으로 흡입, 제거하는 과정으로 진행
됩니다 치료에 최적화된 장비를 활용하여 진피 하부의 남아있는 땀샘까지 확실히
제거하기 때문에 치료 후 재발률이 적고, 만족도가 높은 결과를 이끌어낼 수 있습니다
-
수술 후 일상생활 가능시기는?
과거 절제법을 사용했을 때는 수술 후 실밥이 제거될 때까지 행동에 제약이 있었지만 과도한 팔동작만 하지 않는다면 일상생활에 지장이 없습니다.
너무 무거운 물건을 들어 올리거나 심한 운동은 삼가하는것이 좋습니다.
시술 후 약하게 멍이 생길 수 있으나 곧 사라지므로 걱정 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시술 후 2~3일 후에는 샤워가 가능합니다.
하지만 시술로 인해 약해진 피부를 심하게 문지르시거나 때를 밀면 안되며 탄력성이 있는 섬유옷을 착용하면 도움이 됩니다.
-
쉐이버 삼중제거술은?

기존의 튜메슨트 용액을 사용하여 국소마취가 진행되었던 과정에서 주사바늘을 이용한 형태가 아닌 고압의 제트 압력으로 마취제를 진피조직에 분사하는 단계가 추가되어 더욱 안전한 삼중마취 시스템으로 재탄생하였습니다.
이 과정은 통증없이 마취를 진행하고 수술과정이 원할이 진행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방법으로 수술 중 통증 없이 안전하고 완벽하게 땀샘을 제거할 수 있습니다.